요즘 종량제 쓰레기 단속이 강화되었다고 하는데 분리수거등을 잘 실행해오던 편이라 문제없다고 생각하던 때 문득 이걸 종량제에 버리는 게 맞는 건가? 하고 의구심 가는 쓰레기들이 있었습니다. 종량제 배출항목을 알아보니 생각보다 놀라운 부분들이 많아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일반쓰레기 배출 품목
오해하기 쉬운 분리배출(재활용)이 아닌 품목
과일망,과일포장지 | 도자기,사기그릇 | 깨진 병,조명전구 |
아이스팩 | 보온보냉팩 | 칫솔,볼펜 등 문구류 |
CD / DVD | 고무장갑 | 슬리퍼 |
노끈 | 기저귀 | 화장지 |
1.과일포장재
배나 사과 과일 선물세트나 박스 구입 후 과일을 감싸는 포장재는 스티로폼품으로 오해가 많은 품목입니다.
2. 도자기류, 사기그릇
도자기그릇은 재활용이 어려운 불연성쓰레기로 재활용 유리 분리배출이 아닙니다. 일반종량제봉투에 담아 배출해 주세요
3. 깨진 병, 조명전구
깨진 병은 분리배출이 아닙니다. 깨지지 않은 병만 분리배출이 가능합니다. 깨진 병이나 그릇, 조명전구는 일반종량제 배출입니다. 깨져있는 만큼 위험하니 꼭 신문지에 싸서 배출해 주세요
4. 아이스팩
요즘은 환경보호로 아이스백 내장재가 순수물로 된 제품도 있지만 보통은 고흡성수지 아이스팩이기 표기된 부분을 확인하시고 고흡성수지 아이스팩은 일반 종량제봉투에 배출해주시면 됩니다.
5. 보온보냉팩
여름에 택배나 배달을 하시면 참 많이 쌓이는 은박지팩 다들 분리배출로 생각하시지만 비닐도, 스티로폼도 아닌 일반 종량제 배출을 해주셔야 합니다.
6. 칫솔, 볼펜, 샤프 등 문구류
플라스틱과 다른 재질이 혼합되어 있으면 재활용이 불가합니다. 온전히 플라스틱으로만 되어 있는 품목만 분리배출이 가능합니다.
7.CD/DVD
CD와 DVD도 다른 재질과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쓰레기로 종량제봉투에 배출하셔야 합니다.
8. 고무장갑
고무장갑은 재활용이 어려워 일반쓰레기로 분류됩니다.
9. 슬리퍼
의류재활용품에 배출이 불가합니다. 일반쓰레기로 배출하여야 합니다
10. 노끈
노끈은 재질이 다양해 구분이 어렵고 재활용이 불가한 품목도 많아 일반쓰레기로 분류됩니다.
11. 기저귀
일반쓰레기로 종량제봉투에 배출하셔야 합니다
12. 화장지
화장지를 종이류 분리배출인가 헷갈려하지만 일반쓰레기입니다. 종량제봉투에 배출하셔야 합니다.
씻어도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는 용기
치킨상자 속 종이그릇?
일반쓰레기입니다. 치킨박스 안에 종이그릇은 기름등 이물질이 묻어 재활용이 불가합니다. 종량제봉투에 버려주세요.
컵라면, 컵밥용기는?
미세척 시 일반쓰레기입니다. 이물질이 묻은 용기는 일반쓰레기로 버려주셔야 합니다.
케첩통? 기름통? 양념통?
미세척 시 일반쓰레기입니다. 용기 안을 세척 후 말렸다면 분리수거로 배출해 주시고, 이물질이 씻기지 않는다면 일반쓰레기로 배출해 주세요.
검은 봉지는?
일반쓰레기입니다. 폐비닐은 재활용이 불가해 비닐류 분리배출이 아닌 일반쓰레기봉투에 담아 버려 주시면 됩니다.
오해하기 쉬운 음식쓰레기가 아닌 품목
1. 각종 티백과 한약재찌꺼기
녹차나 보리차 티백은 일반쓰레기로 종량제봉투에 배출해야 합니다.
2. 나무이쑤시개, 포일
음식물과 분리하여 일반쓰레기로 배출하여야 합니다.
3. 야채의 뿌리
파, 미나리 등의 뿌리는 일반쓰레기로 배출하여야 합니다.
4. 갑각류, 어패류의 껍질이나 뼈, 생선내장
단단해서 분쇄가 어려운 껍질이나 뼈는 일반쓰레기로 분류하여 버려야 합니다. 생선내장은 포화지방산이 많아 동물의 사료로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쓰레기로 분류됩니다.
5. 알 껍질
달걀, 오리, 메추리, 타조 알 등의 껍질은 사료나 퇴비로 적절하지 않아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품목이 나눠져 있지만 긴가민가하는 품목들이 있습니다. 음식물쓰레기는 공정을 거쳐 퇴비나 사료로 쓰입니다. 기본적인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물이 먹을 수없다면 음식물이 아닌 일반쓰레기입니다.
재활용이 불가능한 혼합이나 이물질이 묻은 경우는 일반쓰레기입니다.
'알아야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대 여성이라면 취업 가능한 인기 자격증 5가지 (0) | 2022.12.20 |
---|---|
서울과 가까운 아이들과 가면 좋은 눈썰매장 (2022년겨울) (0) | 2022.12.19 |
2023년 첫만남이용권 신청 방법 및 사용처 (0) | 2022.12.13 |
온누리상품권 사용 방법과 사용처 (할인 혜택) (0) | 2022.12.12 |
보일러 설정 다시하고 난방비 절약하기 (실내 온돌 적정 온도알기) (0) | 2022.12.12 |
댓글